2003/12/24

VSS가 포함된 디스크조각모음시 VSS스냅샷이 사라지는 현상

VSS스냅샷(Shadow Copy)은 저장시 시스템 클러스터 사이즈인 block당 16KB로 할당됩니다. VSS서비스는 시스템클러스터 사이즈에 종속되는 서비스 이기 때문입니다.

만일 시스템 클러스터 크기가 16KB보다 작은 시스템일경우, VSS생성과정중에 디스크 조각 I/O와 일반적인 기록 I/O간 차이로 인해서 VSS가 진행되지 않는 원인 될수도 있습니다.
또는 VSS수행 결과, Shadow Copy 저장공간이 갑자기 커지는 결과가 될수도 있습니다.

다시 설명하면, 시스템에 할당된 클러스터 사이즈의 차이로 인해서, 예상보다 소비되는 클러스터의 갯수가 달라져 전체적으로 디스크의 이용량이 커질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VSS수행시, 사용자가 지정된 VSS저장 한계가 설정되어 있을경우, 예전에 Shadow Copy본은 엎어집니다. 당연히, 할당공간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 겠죠...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디스크 클러스터 사이즈를 16KB 이거나, 또는 큰 사이즈로 다시 디스크를 포맷하는 것.

-운영중인 시스템에 적용하는 것이 무리이므로, 시스템 계획시 사전점검을 하는것 좋을듯 합니다. 그런데, 요즘 시스템은 16KB보다 훨씬크게 포맷하므로 특별히 문제는 없을듯 합니다...


*용어설명 : 클러스터(cluster)
PC의 저장기술 측면에서의 클러스터는 하드디스크 위에 파일을 저장하는 논리적 단위이며, 컴퓨터의 운영체계에 의해 관리된다.
클러스터는 하드디스크 그 자체에 만들어지는 물리적인 단위가 아닌 논리적인 단위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클러스터의 크기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클러스터의 크기가 커지면서 지불해야할 대가가 있다면, 그것은 크기가 적은 파일들 (예를 들어 디렉토리와 같은 것들) 조차도 하나의 클러스터를 모두 차지해 버려 낭비적 요소가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약 클러스터 한개의 크기를 2,048 바이트로 설정한 경우라면, 10 바이트 짜리 파일조차도 2,048 바이트를 소모하게 되는 것이다(실제로 많은 운영체계에서 클러스터의 기본 크기를 4,096 바이트나 8,192 바이트로 설정하고 있다)

2003/12/13

RIS를 이용한 인스톨시, 시리얼 자동입력/파티션 설정

■ RIS를 이용해서 윈도우 설치시, 시리얼키를 넣는 과정을 자동화하고 싶은경우 다음과 같이 설정파일에 직접 시리얼키를 지정해 놓을경우 설치과정에서 시리얼키를 묻지 않습니다.

오피스나, 다른 일부 프로그램의 경우도 설정파일에 시리얼키를 넣어 설치과정을 간소화해놓은 프로그램도 있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와우CD류가 대부분 그렇게 해놓지요...

1. i386\templates 폴더에 ristndrd.sif를 텍스트 편집기로 엽니다.
2. 파일항목중에... [UserData] 부분에 ProductID 를 추가해 주시면 됩니다.

예,.
[UserData]
FullName = "%USERFIRSTNAME% %USERLASTNAME%"
OrgName = "%ORGNAME%"
ComputerName = %MACHINENAME%
ProductID = "32J4A-P07TY-86RE2-8U3H1-◯◯◯◯"


■ RIS를 이용한 설치시, 파티션을 직접설정 하기.
RIS를 Default 상태의 설정파일을 이용할경우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통하드. 즉,
사용가능한 모든 공간을 하나의 파티션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우리가 원하는건 이게 아니죠. C는 10G, D는 20G 머 이런식이죠.

[RemoteInstall]
Repartition = No
UseWholeDisk = No

그럴때, 설치시 직접파티션을 나누고 지정을 하게 할려면 다음을 넣어줍니다.



이외 설치프로그램의 종류도 지정이 가능합니다. 자세한건, RIS 설정파일 설명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unas 를 이용한 관리자권한으로 프로그램 시작

일상적인 관리작업에서 보안을 위해서는 관리자계정으로 로그인하지 않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관리자 권한이 필요한 프로그램의 경우 Runas를 이용하면 됩니다.

Runas는 일반계정으로 로그인후, Runas를 이용해서 권한상승을 해서 관리자 작업을 할수있게 해주는 Command Line 명령어 입니다.

리눅스에서 su 명령어와 똑같은 기능을 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GUI상태에서도 팝업메뉴를 통해서 "다음 계정으로 실행...." 을 이용해도
동일한 효과입니다.


사용법은 간단합니다. 예로는...

1. 관리자권한으로 Cmd 명령창을 이용할경우.
C:\>runas /user:administrator cmd
administrator의 암호 입력:
cmd을(를) 사용자 "SERVERINFO\administrator"(으)로 시작하려고 합니다...

2.도메인환경의 경우...
/user:도메인명\Administrator 과 같이 해주면 됩니다.

3.IIS관리자를 열경우..(mmc프로그램 실행시...)
runas /user:Administrator "mmc %systemroot%\system32\inetsrv\iis.msc"

4.노트패드로 특정파일을 열경우.
runas /user:Administrator "notepad my_file.txt"

5.컴퓨터관리 MMC를 열경우.
runas /user:Administrator "mmc %windir%\system32\compmgmt.msc"

6.AD 사용자 및 컴퓨터 MMC를 열경우.
runas /user:Administrator "mmc %windir%\system32\dsa.msc"


* 만약 Runas 명령어가 안될경우. 시스템의 서비스중 "Secondary Logon" 가
실행중인 상태이어야만 합니다.



12-runas.PNG

가장 많이 본 글